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사

가족이 무엇인가에 대한 여러 가지 정의를 정리해 본 후, 현대 가족의 여러 다양한 특성을 제시해 봅시다.

by 랑꾼쵸이 2019. 7. 4.
반응형

가족에 대한 다양한 정의

보통 혈연, 혼인, 입양, 친분 등으로 관계되어 일상의 생활을 공유하는 사람들의 집단 또는 구성원을 말하며 구성원에 대한 양육 및 교육기능 등 개인의 인성 형성에 강한 영향력을 미치며 사회 공통의 행동규범을 습득시키는 사회화 과정을 담당하는 기본 집단이라고 가족을 정의한다.
건강가정기본법 제3조에서는 혼인,혈연,입양으로 이루어진 사회의 기본단위를 가족 이라고도 한다.
가족에 대한 정의는 학자마다 여러 관점을 가지고 있다.


-고전적 정의의 가족
ⓛ Murdock
"가족은 공동의 거주, 경제적 협동, 생식(재생산)의 특징을 갖는 집단으로 사회적으로 인정받은 성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최소한의 성인 남녀와 한 명 이상의 자녀로 이루어진다."
② Levi-Strauss
"가족은 결혼에 의해 출발하며 부부와 그들의 자녀로 구성되지만, 이 핵
집단에 다른 근친자가 포함될 수 있다. 가족 구성원은 법적 유대, 경제적.
종교적, 그 외에 다른 권리와 의무, 성적 권리와 금지, 애정, 존경, 경외 등 다양한 심리적 정감으로 결합되어 있다."
③ 국내 학자들의 정의
*김두헌(1969)은 "가족은 일반적으로 영속적 결합에 의한 부부와 거기에서 생긴 자녀로 된 생활공동체“*최재석(1966)은 "가족은 가례를 공동으로 하는 친족집단".
*유영주(1993는 “가족은 부부와 그들의 자녀로 구성되는 기본적 회집단으로서, 이들의 이익관계를 떠난 애정적 혈연집단이며, 같은 장소에서 기거하고 취사하는 동거동재를 뜻함.

-현대적 정의의 가족
① 국외 학자들의 정의
'가족은 한 집에 거주하는 서로 관련된 두 명 이상의 사람들로 구성된다."(Us. Bureau of the Census, 1992)
"가족이란 둘 또는 그 이상의 가족원들이 서로 돕고 몰입되어 있으며, 애정과 친밀감, 가치관과 의사 결정, 자원을 서로 나누는 집단이다."(Olson &DeFrain, 1994), 가족은 도움을 필요로 할 때 도움을 주며, 가족원의 중요성을 인정해 주는 다른 가족원을 통해 안도감의 욕구가 충족되는 장소(Erber &Erber, 2001 ; 정현숙 외, 2001, 재인용).
② 국내 학자들의 정의
"인간의 본질적 특성인 개체성과 반개체성, 즉 개인으로서의 '나'와 관계로서의 '나'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상호작용하는 생활 공동체적
집단"(유영주, 2000)
"가족은 사회의 영향을 받기만 하는 집단이라기보다는 사회의 영향에 대해 나름대로의 의미를 부여하며 적응, 변화하는 집단이다."(정현숙 외, 2001)
가족의 정의는 학자마다 관점이 다르고 사회 또는 문화적 환경이나 시대가 변화하게 되면 정의 또한 변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현대 가족의 다양한 특성

1.가족규모가 축소되고 있다. 확대가족에서 핵가족화, 핵가족에서 자녀를 갖는 것을 선택이라 생각하는 무자녀가족, 결혼을 하지 않거나 가족해체로 인한 단독가구의 증가 등이 가족구성원 수를 감소시키고 있다.
2.노인가족이 증가하고 있다. 노인인구의 급증으로 자녀와의 동거를 원치않는 노인 및 부모와의 동거를 원치 않는 자녀가 늘어나고 있다.
3.이혼율이 증가 하고 있다.
4.재혼가정이 증가 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가부장적 전통은 여성의 결혼을 죄악시 하였으나 사회적 문화 규범을 반영하는 TV드라마에서 이혼남과 미혼녀의 결합, 사별한 남자와 이혼녀의 결합 등 다양한 유형의 재혼가족이 긍정적으로 비쳐지면서 재혼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변하고 있다. 
5.취업여성의 증가로 맞벌이 가족이 증가하고 있다. 자녀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다.
6.결혼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로 인해 동거가족이 증가하고 있다.
7.결혼 연령이 높아지고 독신을 선택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8.아들을 낳아 대를 잇게 하는 결혼에서 사랑하는 사람과의 연애결혼이 증가하고, 부부가족의 행복을 중시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현대 가족의 가장 중요한 특성 1가지

현대 가족의 중요한 특성 중의 한가지는 저출산이다.
여성의 취업률, 개인주의 성향이 증가 하면서 독신을 선택하며 결혼을 해서 자녀의 낳음을 선택으로 생각하는 경향도 증가 하고 있다. 자녀를 성인으로 키우기 위해 필요한 육아양육비, 사교육비 등 경제적 부분도 크게 작용하고 있다. 보육시설이 부족해서 여성들의 사회생활의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결혼 연령이 늦어져서 애를 낳을 기회가 줄어 들었다. 부부중심의 행복함을 추구하는 경향이 증가 하고 있다.
저출산율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탁아소,유치원 등 보육시설이 더욱 많이 생겨야 하며 보육에 필요한 재정적 지원을 정부에서 더 많이 해야 할 것이며 자녀의 필요성을 정부 또는 민간단체에서 많은 홍보를 해야 할것이다.

 

 

참고자료 : 네이버 지식백과사전.
                고전적 정의 및 현대적 정의에 대한 학자들의 관점(https://steemit.com/kr/@goodgirl/x1j8t)
                가족복지론 교안.

반응형

댓글